`지상전 최강자`로 군림하던 전차의 위상이 `드론(무인기) 전쟁`의 시대가 열리면서 곤두박질친 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침공을 받아 3년째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선 이미 확인된 것만 수천대의 전차가 파괴됐습니다. <br /> <br />상대방 전차와 정면으로 교전한 경우는 드물고 상당수가 드론의 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경우라고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20일(현지시간) 일간 뉴욕타임스(NYT)는 익명의 미국 고위 당국자를 인용, 지난 두 달 사이 우크라이나군이 보유한 미국제 M1 에이브럼스 주력전차 31대 중 5대가 파괴됐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작년 가을 우크라이나군에 인도돼 올해 초에야 본격적으로 전투에 투입됐는데 벌써부터 파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오픈소스 정보 웹사이트 오릭스(Oryx)는 2022년 2월 24일 전쟁이 발발한 이후 현재까지 우크라이나군이 상실한 주력전차가 최소 796대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군의 전차 손실 규모는 이보다 훨씬 커서 최소 2천900여대가 파괴, 노획되거나 버려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손실된 전차 대부분은 서방 전차보다 상대적으로 생존력이 약한 옛 소련제 전차들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훨씬 강력한 방어력을 지녔다고 평가되는 미국제 M1 전차도 자폭 드론을 상대로는 생각 이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싱크탱크 허드슨 연구소의 캔 카사포글루 연구원은 이에 대해 "우크라이나 분쟁이 또다른 방식으로 현대전의 본질을 다시 쓰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의 전차는 방어선을 돌파하고 상대방의 전차를 격파하는 등 임무를 위해 대전차 로켓이나 전차포 등 직사(直射)화기에 대한 방어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전차 윗부분과 후방 엔진룸 등을 덮은 장갑판은 상대적으로 얇아서 공중으로부터의 공격에 취약하다는 특성이 있었는데, 자폭 드론은 그런 전차의 약점을 정확하게 찌르는 무기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로켓추진유탄(RPG)나 폭발성형관통자(EFP) 등이 실린 대전차 자폭 드론은 적게는 500달러(약 70만원)에 생산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M1 전차 한 대의 가격이 1천만 달러(약 138억원)에 이른다는 점에 비춰보면 비교가 힘들 정도로 값싼 무기인데도, 정확성은 기존 무기체계를 능가하고 전파교란(jamming) 외에는 딱히 방어할 수단도 마땅찮습니다.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42209335257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